전북특별자치도 히든챔피언선도기업
사업개요
- 사업목표
-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역의 경제발전과 혁신성장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중소ㆍ중견기업을 발굴ㆍ육성
- 사업기간
- 2010년 ~ (계속사업)
- 소관부처
- 전북특별자치도
- 주관기관
- (재)전북테크노파크
- 지원대상
- 전북특별자치도 선도기업으로 선정된 기업
- 지정기간
- 일반트랙 5년, 글로컬트랙 5년
신청자격2025년 기준
구 분 | 일반트랙 | 글로컬트랙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---|
필 수 조 건 |
대상업종 |
한국표준산업분류 “제조업(C10~C33)",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(J582)인 사업자 |
모두충족 | |
기업규모 |
중소기업 |
중소기업 |
||
연구소 |
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전담부서 보유 |
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전담부서 보유 |
||
기업형태 |
법인 또는 개인기업 |
법인기업 |
||
매출기준 |
전년도 결산 50억원 ~ |
3년 평균매출 100억원 ~ |
||
업력 |
창업 4년 이상 (결산 4회 이상) |
창업 4년 이상 (결산 4회 이상) 및 선도(일반) 졸업 후 2년 경과 |
||
고용기준 |
근로자(정규직) 10인 이상 |
근로자(정규직) 15인 이상 |
||
소재지 |
전북특별자치도 내에 사업장(생산시설)을 보유·운영하는 기업 |
전북특별자치도 내에 사업장(생산시설)을 보유·운영하는 기업 |
||
선 택 조 건 |
매출성장 | - 해당사항 없음 - |
최근 3년간 연평균 매출증가율 5% 이상 |
2개 이상 충 족 |
고용증가 | - 해당사항 없음 - |
직전년도 고용증가율 5% 이상 또는 고용증가 10명 이상 |
||
수출비중 | - 해당사항 없음 - |
직년년도 매출액 대비 직·간접 수출액 비중 10% 이상 |
||
R&D비율 | - 해당사항 없음 - |
최근 3년간 매출액 대비 R&D 투자비율 2% 이상 |
||
신청제한 |
선도기업(일반, 글로컬)(졸업포함) 혁신기업(졸업포함) 강소기업(졸업포함) 월드클래스(+)기업(졸업포함) |
선도기업(일반, 글로컬)(졸업포함) 혁신기업(졸업포함) 강소기업(졸업포함) 월드클래스(+)기업(졸업포함) |
- | |
특례조건 |
인구소멸고위험 7개 지역 기업의 경우 최종 선정기업의 20% 내외를 의무할당 |
- 해당사항 없음 - | - |
선정절차
- 사업공고
- 전북특별자치도 /
전북테크노파크
- 신청접수
- 전북테크노파크
- 요건검토
- 전북테크노파크
- 서류심사
- 도내ㆍ외 전문가
- 현장실사
- 전북테크노파크
- 발표심사
- 도내ㆍ외 전문가
- 최종심사
- 운영위원회
- 지정서 교부
- 전북특별자치도 /
전북테크노파크
지원 프로그램2025년 기준
구분 | 지원사업 | 사 업 내 용 | 지원규모 |
---|---|---|---|
기술화 지원 |
기술개발 역량강화 지원사업 |
기업 수요 반영 R&D지원을 통해 제품생산 및 매출 증대로 기업경쟁력 강화 |
- 일반형: 1.5억원 이내 - 구매확약형: 2억원 이내 |
사업화 지원 |
자율프로그램 |
생산성향상, 원가절감 등 공정개선 지원 사업화를 위한 시제품 제작 및 제품개선 기술력 확보를 위한 산업재산권, 인증획득 신규 시장 확보를 위한 마케팅 지원 제품 세일즈를 위한 홍보지원 IPO 활성화 지원사업 등 |
- 8천만원 이내 |
성장지원 | 지속가능 경영확산 지원사업 |
ESG 역량진단 및 교육 ESG 등급 향상 컨설팅 ESG 취약항목 개선지원(패키지) |
*신규지정 기업 필수 프로그램 -ESG 역량진단 및 교육 : 3백만원 이내 -ESG 취약항목 개산지원 : 4천만원 이내 |
역량강화 | 리더 혁신역량강화 프로그램 |
최고경영자 혁신포럼 운영(1회) 중간관리자 역량 플러스 교육(3회) |
|
기업지원 활동 |
네트워크 활성화 지원 |
선도기업 대표자 협의회 지역별 실무자 간담회 |
|
신규 지정기업 전담 컨설턴트 매칭 |
기업애로 해소를 위한 전담 컨설턴트 지정 지원 |
※ 상기 지원프로그램은 예산 및 운영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